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생활비 줄이기 실전편 자취 1년차 꿀팁

by 민과장 2025. 6. 13.

 

 

생활비 줄이기 실전편 자취 1년차 꿀팁

자취 1년 차가 되면 슬슬 현실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월급이 통장을 스치고, 예상보다 빨리 바닥나는 예산. 이 글은 실제로 10년간의 자취생활을 하며 돈을 아끼기 위해 했던 생활 속 실전 절약 노하우를 공유합니다. 책이나 이론이 아닌, 직접 겪고 체득한 ‘진짜 팁’만 모았습니다.

1. 배달앱 삭제 → 지출 30% 감소

자취 첫 3개월 동안 가장 많이 쓴 건 배달비였습니다. ‘한 끼니까 괜찮겠지’ 했지만, 모이면 큰 금액입니다. 배달앱 이용을 한주에 한번으로 줄이고  식단 계획 + 장보기 로 전환하니 식비가 확실히 줄었습니다. 

2. 고정지출 점검: 자동이체 다시 보기

초기에 설정한 자동이체 항목 중에는 더 이상 필요 없는 구독 서비스나 유료 앱이 많았습니다. 매달 지출되는 고정비용 자동이체 비용 OTT 서비스 비용들이 모이고 모이다 보면 상당히 큰 금액이 지출됩니다. 3개월에 한 번씩 자동이체 내역을 점검하고 불필요한 것들을 해지하면, 한 달에 2~3만 원은 쉽게 아낄 수 있습니다. 1년이면 20~30만원입니다.

3. 공용비품 공동구매로 단가 절감

화장지, 세제, 쓰레기봉투 등은 동네 친구와 공동 구매를 했습니다. 1인분으로 사면 단가가 비싼데, 2~3인분으로 나누면 가격은 절반 수준으로 떨어집니다. 택배비도 절약되고, 보관 공간도 줄일 수 있어 일석이조입니다.

4. 공과금 절약은 ‘습관 리셋’

1년 전에는 대기전력을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멀티탭을 활용해 자주 끄고, 세탁기 사용 횟수를 줄이고, 보일러는 타이머 설정으로 전환하면서 전기·가스 요금이 월 1만 원 이상 감소했습니다.

5. 자취 전용 가계부 앱 필수

지출 흐름이 보이면 절약이 쉬워집니다. 토스, 뱅크샐러드, 머니북 등 앱을 사용해서 식비, 교통비, 쇼핑비 항목별로 구분해 지출을 관리하세요. 지출 패턴을 시각화하면 불필요한 소비가 눈에 띄게 줄어듭니다.

6. 여가비는 무료 콘텐츠 중심으로 전환

넷플릭스, 유튜브 프리미엄, 멜론까지 쓰던 시절, 여가비만 월 5만 원이 넘었습니다. 지금은 - 도서관 전자책 - 무료 유튜브 채널 - 공공 문화 행사 위주로 콘텐츠 소비를 바꾸고, 월 콘텐츠 소비 비용을 1만원 이하로 유지하고 있습니다.

7. 무지출 데이 운영으로 소비 컨트롤

한 달에 4~5일 정도는 ‘무지출 데이(No Spend Day)’로 설정했습니다. 하루라도 지갑을 열지 않으면, 소비 습관을 제어할 수 있게 됩니다. 이 작은 실천이 매달 평균 3~5만 원의 지출 절감으로 이어졌습니다.


마무리

자취생활은 ‘버티기’가 아니라 ‘관리’입니다. 1년 동안 수많은 실수와 시행착오를 거쳤지만, 지금은 체계적인 절약 습관이 생겼습니다. 자취를 시작했다면, 오늘의 팁 중 하나만이라도 바로 실천해 보세요. 생활비가 달라지고, 마음도 훨씬 가벼워질 것입니다.